본문 바로가기

sns글쓰기36

'뽀록나다' 는 '드러나다, 들통나다', '비까번쩍하다'는 '번쩍번쩍하다'로 2023년 4월 19일 수요일 김홍민 교수와 함께 ‘1분 우리글 함께하길’ : 76회 K-Pop을 비롯한 K-Culture, K-Food 열풍으로 전 세계가 우리나라를 주목하고 있는 시대, 일본어에서 온 표현들보다는 아름다운 우리말을 더욱 발굴해 사용해 봅시다. 우리 생활속 무심코 쓰는 일본어 1) '뽀록나다' 는 '드러나다, 들통나다' '뽀록'은 일본어 '보로'에서 온 말로 'ぼろ(襤褸)'는 기본적으로 '넝마, 누더기'의 의미이나 파생적으로 '허술한 데, 결점'의 의미로도 쓰입니다. 그래서 'ぼろを だ(出)す'라고 하면 '결점을 드러내다, 실패하다'의 의미로, 'ぼろを かく(隱)す'라고 하면 '결점을 감추다'의 의미입니다. 국어에서 '뽀록나다'는 '보로터지다'로 쓰이기도 하는데, '뽀록나다'는 '드러나.. 2023. 4. 19.
무심코 대물림해 쓰는 일본식 표현의 잔재 청산하고 올바른 우리말.. 2023년 4월 18일 화요일 김홍민 교수와 함께 ‘1분 우리글 함께하길’ : 75회 자랑스런 우리 한글, 그런데 '반듯이'와 '반드시'도 구별 못하고 능동태와 수동태를 구별도 못해, 해를 입거나 놀림을 받다의 '당했다'를 상황에 어울리지 않게 억지 주장까지..... K-Pop을 비롯한 K-Culture, K-Food 열풍으로 전 세계가 우리나라를 주목하고 있는 시대, 일본어에서 온 표현들보다는 아름다운 우리말을 더욱 발굴해 사용해 봅시다. 우리 생활속 무심코 쓰는 일본어 1) ‘찌찌(乳, ちち)’와 '맘마(まんま)' “찌찌 먹자”라는 말의 찌찌는 ‘젖’이라는 일본어이다. 밥을 먹을 때도 ‘맘마 먹자’라는 말도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 맘마(まんま)는 어린이들이 먹는 밥의 일본어이다. 2) ‘쇼당(しょうだ.. 2023. 4. 18.
'와사비' 는 '고추냉이', '쓰키다시' 는 '곁들이 찬. 곁들이 안주'로 2023년 4월 17일 월요일 김홍민 교수와 함께 ‘1분 우리글 함께하길’ : 74회 자랑스런 우리 한글, 그런데 '반듯이'와 '반드시'도 구별 못하고 능동태와 수동태를 구별도 못해, 해를 입거나 놀림을 받다의 '당했다'를 상황에 어울리지 않게 억지 주장까지..... K-Pop을 비롯한 K-Culture, K-Food 열풍으로 전 세계가 우리나라를 주목하고 있는 시대, 일본어에서 온 표현들보다는 아름다운 우리말을 더욱 발굴해 사용해 봅시다. 일제강점기의 영향을 많이 받아 왔던 수산업과 수산물, 횟집, 어시장, 위판장 등 수산 현장에서 쓰는 용어에는 우리말보다 일본식 표현이 유독 많다. -. '세꼬시' 는 '뼈째회' -. '마구로' 는 '다랑어' -. '혼마구로' 는 '참다랑어 -. '히라시' 는 '방어'.. 2023. 4. 17.
‘스시(壽司, ずし)’는 '초밥', ‘사시미(刺身, さしみ) 는 '생선회' 2023년 4월 14일 금요일 김홍민 교수와 함께 ‘1분 우리글 함께하길’ : 73회 자랑스런 우리 한글, 그런데 '반듯이'와 '반드시'도 구별 못하고 능동태와 수동태를 구별도 못해, 해를 입거나 놀림을 받다의 '당했다'를 상황에 어울리지 않게 억지 주장까지..... K-Pop을 비롯한 K-Culture, K-Food 열풍으로 전 세계가 우리나라를 주목하고 있는 시대, 일본어에서 온 표현들보다는 아름다운 우리말을 더욱 발굴해 사용해 봅시다. 무심코 대물림해 쓰는 일본식 표현의 잔재를 청산하고 올바른 우리말 용어를 쓰자 1. ‘스시(壽司, ずし)’는 '초밥'으로 스시(寿司すし, 수사)는 일본 요리의 하나로, 어패류(수산물)의 살이나 유부·달걀·김 등의 식재료를 배합초에 절인 쌀밥 위에 올려 만드는 음식이다.. 2023. 4. 14.